전체 글 (17)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Script] var 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var var는 ES6 등장 이전에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던 키워드다. 하지만 ES6 등장 이후 let과 const를 사용하고, var는 큰 단점이 있어 현재 잘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오래된 소스들을 보면 대부분 var로 선언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럼 어떤 단점이 있는지 알아볼까? 먼저 아래 코드를 보면 변수 num 이 중복으로 선언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오류로 판단하지 않고 정상 동작한다. var num = 123; var num = 456; console.log(num); 실행결과 : 456 만약 소스코드가 길어지고 큰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될 경우, 해당 문제로 인한 오류를 찾기가 매우 힘들어진다. 그런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그 이유는 바로 Hoisting(호이스팅) .. 코딩 네이밍 규칙 : 4가지 표기법 소개 개발 과정에서 리소스나 클래스, 오브젝트의 이름 또는 변수 등 이름 명명 규칙 4가지가 있다. 1. 카멜 케이스 표기법 (camelCase) 첫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 그 이후 연결되는 단어들의 첫 자는 대문자로 표기. ex) camelCase, userInfo, nameColor 2. 케밥 케이스 표기법 (kebab-case) 모든 문자는 소문자로 표기. 단어들 사이는 하이픈(-)으로 연결. ex) kebab-case, user-info, name-color 3. 스네이크 케이스 표기법 (snake_case) 모든 문자는 소문자로 표기. 단어들 사이는 언더바(_)로 연결 ex) kebab_case, user_info, name_color 4. 파스칼 케이스 표기법 (PascalCase) 모든 문자의 첫.. WEB2 - CSS -강의명 : WEB2 - CSS -강의수 : 총 15개 수업 (2시간 4분) -강사: Egoing Lee -수강기간 : 2023.03.16 ~ 2023.03.20 -수강평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어서 Web의 기초 강의를 찾는 중 생활코딩의 이고잉님의 Web 강의 시리즈를 알게 되었다. 수강평도 괜찮고, 유명한 분이시다보니 괜찮을 것 같아서 강의를 수강했다. 수업 내용은 css의 등장배경, 기본 문법 등 기초만 있었다. 이 강의를 통해 웹사이트 제작시 사용하는 소스가 웹브라우저에서 지원되는지 확인이 가능한 사이트(Can I Use)를 하나 알게 되었는데 꽤 유용하게 쓰일 것 같다. 크로스 브라우징 유용한 사이트 : Can I Use 사용법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웹 페이지 제작 시에 모든 브라우저에서 깨지지 않고 의도한 대로 올바르게(호환성) 나오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웹사이트 제작시 사용하는 소스가 웹브라우저에서 지원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css 의 grid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지원되는 브라우저를 확인하고 싶다면 https://caniuse.com/ Can I use... Support tables for HTML5, CSS3, etc caniuse.com 위 사이트를 들어가서 상단 이 부분의 밑줄 안에 css grid 를 입력하면 된다. 입력하게 되면 아래에 결과가 나오게 되는데 각 브라우저 버전별로 호환 가능한지 표시된다. 녹색 적용이 되는 것을 의미 빨간색 적용이 되지 않는 것을 의미 갈색 불안정하다는 의.. 컴퓨터, 웹, 코딩, 프로그래밍의 시작 - Web1 -강의명 : 컴퓨터, 웹, 코딩, 프로그래밍의 시작 - Web1 -강의수 : 총37개 수업(4시간 9분) -강사: Egoing Lee -수강기간 : 2022.02.07 ~ 2022.02.23 -수강평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어서 Web의 기초 강의를 찾는 중 생활코딩의 이고잉님의 Web 강의 시리즈를 알게 되었다. 수강평도 괜찮고, 유명한 분이시다보니 괜찮을 것 같아서 강의를 수강했는데 확실히 Web의 기초부터 알려주어서 기반을 다지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다. 수많은 HTML 태그를 무작정 외우는게 아니라 많이 쓰이는 HTML 태그 수를 찾아서 학습하는 식으로 알려준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HTML 태그들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주지 않았다. [Oracle] 오라클 이전값 가져오기 LAG 함수 사용법 & 예시 LAG 함수는 이전 ROW 의 값을 가져올 때 사용한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LAG(expr, offset, default) OVER(PARTITION BY 절 ORDER BY 절) - expr : 대상 컬럼명 - offset : 값을 가져올 ROW 위치로 기본값은 1 (생략가능) - default : 값이 없을 경우 지정할 기본값 (생략가능) - partition_by : 그룹핑할 컬럼명 (생략가능) - order_by : 정렬할 컬럼명 (필수) 예시) 부서 테이블(DPT_INFO)에서 부서번호(DPT_NO) 별로 정렬하여 이전 부서번호를 출력하고 싶을 경우 1 2 SELECT DPT_NO , LAG(DPT_NO, '없음') ORDER BY (DPT_NO) AS DPT_NO_PREV FROM DPT.. HTML 페이지 많이 쓰이는 태그 순위 HTML에는 수많은 태그가 있다. 100개가 넘는 태그가 존재하는데 이 많은 태그를 모두 외우는 건 힘들다. 따라서, 자주 사용하는 태그들을 외우면 도움이 많이 된다. 아래는 HTML 페이지에서 사용되는 태그의 빈도수를 순위로 매겨 나열한 그림이다.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html, head, body 는 나란히 1,2,3위를 차지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래 그림을 보고 해당 태그에 대해 검색해서 찾아보고 공부해서 외워두면 HTML 페이지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Oracle] 오라클 문자열 합치기 CONCAT 함수 사용법 & 예시 CONCAT 함수는 두 문자열을 합칠 때 사용한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CONCAT('문자열1', '문자열2') 또한, || 을 사용한 것과 결과값이 같다. 일단 예시를 보자. 1 2 SELECT CONCAT('kor','ea') FROM DUAL cs 결과는 'korea'라는 문자열이 된다. 1 2 SELECT 'kor' || 'ea' FROM DUAL cs 위 두 쿼리는 결과 값이 같다.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