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7)
[Linux] 일정 시간마다 작업 실행하기(cron) 크론(Cron) 크론(Cron)은 리눅스의 작업 스케줄러로 정해진 시간이나 주기마다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크론(Cron) 이 언제 무엇을 하는지 특정 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크론탭(Crontab)이라고 하며, 크론탭(Crontab) 작업은 크론(Cron) 이라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 을 수행하도록 리스트를 만드는 것이다. 언제 사용할까?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해야할때 반복된 시간에 반복된 작업을 해야할때 예약 작업을 사용해야 할때 주요 명령어 1. 크론탭 작업 내용 편집 $ crontab -e 2. 크론탭 작업 내용 확인 $ crontab -l 3. 크론탭 작업 삭제 $ crontab -r 기본 문법 # 분 시 일 월 요 [실행할작업] # ┌───────────── 분 (0..
[Github Actions] 깃허브 Pull Request 생성 시 구글챗에 알림 전송하기 개요 지난 깃허브 커밋 시 구글챗에 알림 전송하는 기능을 포스팅했는데
[Github Actions] 깃허브 커밋 시 구글챗에 알림 전송하기 개요 회사에서 Git 을 쓰고있는데 다른 팀원이 특정 브런치에 푸시하거나 PR 생성될 경우 메일이 오기는 하는데 메일은 확인을 잘 안 하기도 하고, 보기가 불편해서 회사에서 메신저로 사용중인 "구글 챗((Google Chat) 으로 알림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찾아보니 깃허브 액션과 웹훅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서 실제로 구현 후에 서비스하고 블로그에 포스팅으로 남기게 되었다. Slack 도 사용하기는 하는데 잘 사용하지 않다보니 일단 구글챗으로만 알림을 보내는 기능을 만들었다. 추후 Slack 에 알림 보내는 방법도 포스팅 예정이다. 웹훅(Webhook)이란? -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타 서비스나 응용프로그램으로 알림을 보내는 기능 차례대로 방법을 설명하겠다. 1. 구글 챗 에서 채..
자바스크립트 ES6+ 기초 핵심 문법 -강의명 : 자바스크립트 ES6+ 기초 핵심 문법 -강의수 : 총 23개 수업 (3시간 54분) -강사: 이룸코딩 -수강기간 : 2023.04.03 ~ 2023.04.24 -학습내용 :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ES6 문법 포함), DOM 조작, 이벤트 처리, 실습 예제 -수강평 : 자바스크립트의 기본적인 문법들은 알고 있었지만 ES6 문법을 알고 싶어서 수강했다. let 과 const 사용법, 인터프리터가 변수와 함수의 메모리 공간을 선언 전에 미리 할당하는 호이스팅(Hoisting),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s), 전개연산자 등을 알게 되었다. 강의시간은 짧으면서 필요한 정보는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
[JavaScript] 함수 기본 매개변수 (Default Parameters) 사용법 기본 매개변수(Default Parameters)란? 함수에 전달된 매개변수의 값이 undefined이거나 전달된 값이 없을 때, 초기화 설정된 값을 말한다. 사용법 파라미터 뒤에 = 를 붙이고, 그 뒤에 기본으로 설정할 값을 입력하면 된다. function name(param = defaultValue){ ... } 아래 사용 예시를 살펴보자.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console.log(sum(1, 2)); // 3 console.log(sum(1)); // NaN 일반적으로 함수 호출 시 정해진 매개변수의 갯수만큼 인자로 넘겨주어야 한다. 위 코드를 보면 sum 이라는 함수의 매개변수는 a와 b 두개이며, sum 호출 시 1개의 인자만 넘겨주면 NaN이 반..
[JavaScript]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 사용법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란? 전개 구문(Spread Syntax)은 ECMAScript6(2015)에서 새로 추가된 문법으로 이름 그대로 객체 혹은 배열들을 펼칠 수 있게 해 준다. 이때 전개 연산자(...)를 활용한다. 사용법 문법 자체는 정말 간단하다. 배열이나 객체 앞에 점 세 개(...)를 붙여주면 된다. 아래 사용 예시를 살펴보자. 사용예시 : 배열 const arr = [1, 2, 3]; console.log(arr); // [ 1, 2, 3 ] console.log(...arr); // 1 2 3 실행결과 [ 1, 2, 3 ] 1 2 3 실행결과를 살펴보면 첫번째 줄은 배열 자체 그대로 출력이 되지만, 전개 연산자를 사용한 두번째 줄은 배열 안의 요소들이 펼쳐져서 출력된 걸..
[JavaScript] 데이터 타입 확인 - typeof 연산자 사용법 typeof 연산자란? typeof는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문법 typeof operand typeof(operand) typeof 연산자는 데이터 타입을 확인해야 하는 피연산자 앞에 위치한다. 물론 괄호도 사용 가능하지만, 불필요한 괄호를 넣은 사용방법이니 추천하지는 않는다. 반환되는 값은 다음과 같다. undefined : 변수가 정의되지 않거나 값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 number : 숫자인 경우 string : 문자열인 경우 boolean : true or false인 경우 object : 함수, 배열 등 객체인 경우, null 인 경우 function : 함수인 경우 symbol : 심볼인 경우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현식 반환값 typeof undefined ..
[JavaScript]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s)이란?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s) ES6는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문자열 표기법을 도입하였다. 템플릿 리터럴은 내장된 표현식을 허용하는 문자열 리터럴이다. 일반 문자열과 비슷해 보이지만, ‘ 또는 “ 같은 통상적인 따옴표 문자 대신 백틱 문자(`)를 사용한다. 템플릿 리터럴의 기능 1. Expression interpolation (표현식 삽입법 ) 백틱 사이에 ${ } 를 이용하여 변수나 연산 등을 삽입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래 예시를 보자. 기존 ES6 이전에는 따옴표(',")와 + 연산자를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변수 사이 + 를 넣어주는 불편한 방식이었다. const num1 = 1; const num2 = 2; const msg = num1..

반응형